
Parasha Awdot 5783
당신은 자신의 강점과 약점이 무엇인지 생각해 본 적이 있나요?
이것은 우리 각자에게 일어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구별되는 특정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각자는 서로 다른 존재이며 우리가 강해야 할 부분은 우리의 특성에 있고 우리가 무엇인지에 대해 자랑스러워해야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또한 우리의 약점을 받아들여야 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가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으며 오히려 우리는 우리의 재능을 찾아내고 이를 통해 발견해야 합니다. 파라샤 "톨도트"에서 우리는 이 답을 찾을 수 있습니다!
톨도트는 이삭의 아들 에제브와 야곱에 대해 이야기해줍니다. 그들은 어머니의 태중에서부터 평생 동안 끊임없이 투쟁했지만, 서로에게 의지했습니다. 비록 자신들은 그것을 깨닫지 못했지만요.
한편, 에삽은 시골 사람으로, 사냥에 헌신하고 일하는 발달된 붉은 피부의 사람이었고, 다른 한편으로 야곱은 공부에 특화되어 있었습니다.
오늘날 우리는 그들을 일에만 전념하는 사람과 공부만 하는 사람으로 비교할 수 있지만, 둘 다 필요합니다. 한편으로는 에삽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야곱이 될 수 있습니다. 야곱과 에사우의 관계에서 이것은 논란의 여지가 있는 주제입니다. 왜냐하면 둘 다 자신의 권리, 즉 장자 상속권을 위해 싸웠고 다른 한편으로는 축복을 위해 싸웠기 때문입니다. 이것은 야곱이 그의 아버지 이삭을 "속여" 축복을 빼앗았을 때의 일입니다. 많은 사람이 야곱을 판단할 수 있겠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습니다. 하셈은 모든 것을 완벽하게 만들고 따라서 그 모든 일이 이유가 있어서 일어나도록 일을 진행시킵니다.
에사우는 불충실하고 형제애가 없는 사람으로 묘사될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이것이 자녀의 미래 삶, 즉 교육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우리가 부모로부터 받은 양육에 대한 분석을 포함하지 않는다면 공정하지 못할 것입니다. 토라는 부모가 서로의 장점을 인식하지 못했다고 말합니다.
어머니와 아버지 모두 어떤 면에서는 자녀를 더 사랑했지만, 실제로는 서로의 능력을 인정하고 키워주지 못해 혼란이 있었고, 이는 오늘날에도 우리가 이해하지 못하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때때로 우리는 우리만이 무언가를 받을 자격이 있다고 믿지만 실제로는 상황이 매우 다르기 때문입니다. 상대방도 권리가 있고, 이러한 상황 때문에 가족 문제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이삭과 야곱은 모두 특별한 신의 개입으로 창조되었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의 어머니는 불임이었고 우리는 토라에서 이에 대해 많이 들었고 그것은 모두 어떤 목적을 위해서였습니다.
에무나에게 감사하다 -하셈에 대한 우리의 신뢰에는 기적이 일어납니다. 예를 들어 토라는 이삭이 그의 아내를 위해 하셈에게 기도했고, 거기서 쌍둥이 에삽과 야곱을 임신했다고 말합니다.
우리 각자는 에자브와 야곱의 일부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 사람은 강점이고 다른 한 사람은 약점입니다. 한편으로는 토라 연구에 헌신하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또한
우리는 일과 삶을 위한 싸움에 헌신하며, "돈 버는 것"이라는 유명한 속담은 때때로 우리를 영적인 부분을 잊게 만들기도 합니다. (생계를 위해 싸우는 것은) 나쁘지 않지만, 우리는 한계를 정하는 법을 알아야 합니다. 하지만 이 시점에서 두 힘의 균형을 맞추는 법을 아는 것은 우리가 통제하고 숙달해야 하는 부분이며, 적절한 상황에서 적절한 특성을 발휘해야 합니다. 그 상황에서 우리는 부분적으로 영적, 물질적 상황에 처하게 될 것이고, 우리의 인생 이야기를 통해 사람으로서 우리 자신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고 설계할 수 있습니다. 물론 의심이 있을 것이지만 그것을 해결하면 영적, 물질적으로 우리의 전문 분야를 찾게 됩니다.
샤바트 샬롬!
이스라엘과 전 세계의 모든 병자를 치유하고, 에무나(창조주에 대한 순수하고 진정한 신앙)의 메시지를 전파하는 모든 사람의 성공과 축복을 위해 헌신합니다.
브레슬레브 가든은 다음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