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sha Behaloteja 5783

Parasha Behaloteja 5783

메노라의 아름다움

"이렇게 하여 메노라를 만들고 두들겨서 금으로 새겼느니라" (민수기 8:4)

(파라샤트 베할로테자 바미드바르-민수기 8장 1절 - 12장 16절)
위대한 주석가 라시는 페라샤 테루마(Perasha Terumah)에서 다음과 같이 썼습니다(25:32):
모셰 라베누는 메노라를 만드는 데 어려움을 겪었기 때문에 하셰므는 그에게 금 조각을 불 속에 던지라고 지시하면 스스로 만들어질 것이라고 했습니다.


여기서 의문이 생깁니다. 워싱턴에는 미국을 통치했던 모든 대통령의 동상이 있는 박물관이 있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입니다. 이 조각품도 하나의 금속 조각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모셰가 미국인보다 더 복잡한 시간을 보낸 이유는 무엇일까요?
우리는 장인들처럼 모세가 분명히 그 인물상을 만드는 데 아무런 문제가 없었지만 미국인들에게는 그것은 외적인 인물상일 뿐이며 단지 견고한 조각품일 뿐인 반면 하셈이 만든 메노라는
만들어지도록 명령받은 것은 금뿐만 아니라 내부 이미지도 가지고 있었습니다.

모세가 실패한 것은 이것이었습니다. 등잔대의 내부를 외부까지 완벽하고 온전하게 만드는 방법이었습니다...

그래서 하셈께서 그에게 그런 지시를 내리셨던 것입니다. 진실은 창조주께서 그에게 외부 메노라만 만들라고 지시하셨다는 것입니다. 왜냐하면 메노라는 탈무드(바바 바트라 25)에 기록된 대로 토라를 상징하기 때문입니다. " "지혜를 원하는 사람은 남쪽을 보아야 한다" 즉, 토라를 공부하고 싶은 사람은 기도할 때 남쪽을 향해야 합니다(토라를 상징하는 신성한 촛대가 있던 곳). 또한 영이 필요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은 한마음을 가진 한 사람이 되기 전까지는 토라를 받을 자격이 없었습니다.

첫 번째 태블릿도 다음과 같이 쓰여진 것처럼 틈새에도 쓰여졌습니다.
그 글이 석판 안쪽에 새겨져 있었다.
그래서 메노라는 토라를 상징하기도 합니다. 내부까지도 완벽해야 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하셈은 사람들에게 존재를 나타내기 위해 메노라를 만들 것을 지시했습니다.
인간은 본능에 맞설 힘이 있기 때문에 스스로를 내부적으로 구축하지만, 토라에 호소함으로써만 이것을 달성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토라는 우리에게 악을 극복하고 우리의 내부 전체를 수리할 수 있는 힘을 주는 무기이기 때문입니다.
하셈의 이름은 찬양받으실지어다.

사람이 토라를 위해 희생을 바칠 때, 그는 불 속에서 나온 등잔대가 완전해지는 것처럼 내적으로나 외적으로 완전해질 수 있습니다.


오직 하셈만이 토라의 내부 부분을 완성하여, 외부에서 볼 때 완벽한 촛대와 같은 크기에 도달할 수 있었습니다.


우리는 메노라의 아름다움과 고결함을 얻을 수 있지만, 그것은 우리가 토라의 불에 희생을 바쳐야 얻을 수 있으며, 우리를 완벽함으로 이끌어 줄 내적 순수함을 얻을 때까지는 불가능합니다.

이스라엘과 전 세계의 모든 병자의 건강을 위해, 이스라엘의 평화를 위해, 그리고 도움이 필요한 모든 사람의 성공과 축복을 위해 바칩니다.

브레슬레브 가든은 다음을 추천합니다: